이시기에 아기는 무의식 반사가 의식행동으로 변하고 적응적인 행동으로 대체되고 이전의 반사들이 변화된다. 이것은 대뇌조직의 성장 때문이다.->(*대뇌변연계: 본능적 활동이나 정서, 기억관련) 생후4개월이 지나면 행동 조절 능력은 뇌간에서 대뇌피질로 이동. (*대뇌피질: 가장 최근 진화부분, 고도의 정신활동&감각 담당)
본문내용 고플 때 불안할 때 아플 때 찝찝할 때 1. 청 각
2. 후각 아기의 후각 엄마의 채취를 맡는 것만으로도 아기는 안정을 찾음. 굶주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생존본능.
젖 냄새 구별
3. 반사 신생아들이 가지고 있는 무의식적인 행동패턴 20~30개 정도 가지고 태어남. 이 중 몇몇은 생존과 직결
젖 찾기 반사어떤 물체가 뺨에 닿으면 그 물체를 향해서 반사적으로 고개를 돌린다. 모로반사 큰 소리가 나거나 행동위치가 변하면 무엇을 껴안으려고 하는 반사. 잡기반사 손바닥에 잡은 물체를 쥐려는 것.
4. 생후 3개월 자신의 의지로 두 손을 잡을 수 있고 손&발 통제능력이 생김 이시기에 아기는 무의식 반사가 의식행동으로 변하고 적응적인 행동으로 대체되고 이전의 반사들이 변화된다. 이것은 대뇌조직의 성장 때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