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7월 30일 수요일

정신간호학우울증depression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정신간호학우울증depression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정신간호학][우울증.][depression]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hwp


목차
<< 환자정보 >>
<<질병의 정의 - 우울증>>
DSM-IV 진단 기준에서의 주요 우울증 삽화의 진단 기준
<<질병의 원인 유추>>
1. 소인
1) 공격내재화(aggression turned inward theory)
2) 인지이론(cognitive model)
3) 학습된 무력감 모델(learned helplessness model)
4) 행동모형(behavioral model)
5) 생물학적 모형(biological model)
① 카테콜라민 결핍
② 내분비 장애
③ 코티솔 과다분비
④ 전해질 평형이상
⑤ 생리적 리듬의 변화
6) 유전적 요인
7) 성격이론(personality theory)
2. 유인
1) 주요생활 사건(major life events)
2) 역할(roles)
3) 생리적 변화(physiological changes)
4) 애착상실(loss of attachment)
3. 통합모델
<<임상증상>>
1. 사고 및 인지적 증상
2. 동기적 및 행동적 증상
3. 신체증상
4. 정신병적 증상
1) Hallucination
2) Delusion
<<치료>>
1. 생물학적 치료
1) 약물 요법
(1) 삼환항우울제(tricyclics)
(2) 단가아민산화효소(MAO : Monoamine Oxidase)억제제
(3) 선택적 세로토닌계 흡수차단제(SSRI :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2) 전기경련 요법
3) 수면박탈요법
2. 활동요법
3. 정신치료
1) 개인 정신 치료 (Individual phychotherapy)
(1) 지지정신치료
(2) 통찰정신치료
(3) 사회 심리적 정신요법
(4) 실존주의 정신요법
(5) 최면요법
2) 치료적 집단 (therapeutic groups)
?(4) 지지적 치료집단
(5) 정신치료 집단
(6) 단기치료 집단
(7) 집중문제해결 집단
(8) 약물집단
(9) 활동집단
(10) 동료지지 집단


본문
(3) 체중 조절을 하고 있지 않은 상태(예: 1개월 동안 체중 5% 이상의 변화)에서 의미 있는 체중 감소나 체중 증가, 거의 매일 나타나는 식욕 감소나 증가가 있을 때
주의: 소아의 경우 체중 증가가 기대치에 미달되는 경우 주의할 것.
▶ 환자는 입원 전까지 이전의 몸무게에서 10kg이상이 증가하였다.
(4) 거의 매일 나타나는 불면이나 과다 수면
▶ 환자는 거의 활동을 하지 않고 밤에 8시간이상, 낮잠으로 2시간 이상 자고 있음.
(5) 거의 매일 나타나는 정신 운동성 초조나 지체(주관적인 좌불안석 또는 처진 느낌이 타인에 의해서도 관찰 가능하다)
(6) 거의 매일 피로나 활력 상실.
(7) 거의 매일 무가치감 또는 과도나거나 부적절한 죄책감을 느낌(망상적일 수도 있는)
(단순히 병이 있다는 데 대한 자책이나 죄책감이 아님.)
(8) 거의 매일 나타나는 사고력이나 집중력의 감소, 또는 우유부단함(주관적인 호소나 관찰에서)
▶ 환자는 활동요법에 참여하면서 집중하지 못하고 들락날락하는 모습을 보임.
(9) 반복되는 죽음에 대한 생각(단지 죽음에 대한 두려움 뿐만 아니라), 특정한 계획 없이 반복되는 자살 생각 또는 자살 기도나 자살 수행에 대한 특정 계획
B. 증상이 혼재성 삽화의 기준을 충족시키지 않는다.
C. 증상이 사회적, 직업적, 기타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심각한 고통이나 장해를 일으킨다.
▶ 우울 증상으로 인하여 다니던 유치원을 그만두게 됨.
D. 증상이 물질(예: 약물 남용, 투약)이나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예: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직접적인 생리적 효과로 인한 것이 아니다.
E. 증상이 사별에 의해 잘 설명되지 않는다. 즉, 사랑하는 사람의 상실 후에 증상이 2개월 이상 지속되거나, 현저한 기능 장해, 무가치감에 대한 병적 집착, 자살 생각, 정신증정 증상이나 정신성 운동 지체가 특징적으로 나타날 경우에만 이 장애의 진단이 내려진다.

<<질병의 원인 유추>>
1. 소인
1) 공격내재화(aggression turned inward theory)
Freud의 분노내재화 이론은 죄악감 때문에 적당한 대상으로 향하지 못한 공격본능이 내부 로 향한 것이 우울을 형성하게 된다.
사랑하는 감정 뒤에 부정적인 감정이 누적되어 미움, 적개심, 분노 등의 부정적인 감정이 표현되지 않고 자신의 내부로 향하게 되고 감정표현을 억누르게 된다.
Freud는 자기파괴적인 자살 행위는 미워하고 사랑하는 대상과 자신에 대한 분노의 표현이 라고 했다.
▶ 환자는 1남 3녀중 장녀로 가난한 집안에서 자랐다.
어렸을 때부터 권위주의적인 부모님 밑에서 장녀로서 역할을 제대로 못한다는 꾸지람을 자주 들어왔었다. 환자는 그러한 부모님을 미워하면서도 전혀 반항하지 않았고 자신을 꾸짖는 부모님이 밉고 분노가 생기긴 했지만 그저 자신이 못나서 꾸지람을 듣는 것이라 생각해 왔다. 이러한 부모님에 대한 감정이 나이가 들면서 점점 쌓이게 되고 감정표현을 억누르게 되면서 자기 파괴적인 자살생각이나 시도를 하게 되었다.

2) 인지이론(cognitive model)
미래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 즉 자신이나 어느 누구도 불행이나 고통을 변화시키기 위해
아무것도 할 수 없고 아무것도 이루어 지지 않을 것이라는 신념이다. 이에 관련하여 Beck
등은 우울증 등의 정서적 증상보다는 인지적인 증상인 절망이 자살과 가장 관련이 있을 것 이라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그래서 사람들이 일상생활을 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좌절, 실패, 경제적 타격, 사랑하는 대상의 상실 등의 부정적인 스트레스는 우울이나 절망감을 느끼게 만들며, 이러한 우울이나 절망은 사람들에게 자살 행동이라는 결과를 초래하게 만든다는것이다.
▶ 자신에 대한 부정적 관점-스스로의 모습이 너무 보기 싫고
미래에 대한 부정적 관점-벌써 세 번째 재입원을 하면서 자신은 이제 더 이상 사회에 서 적응하지 못할 것이라는 생각과 사회에 나가면 또 다시스트레스에 적응하지 못해서 역경을 이겨내지 못할 것이라생각함. 자신의 미래는 캄캄하다라고 말함.
3) 학습된 무력감 모델(learned helplessness model)
4) 행동모형(behavioral model)
5) 생물학적 모형(biological model)
① 카테콜라민 결핍


본문내용
검사
5. 약물
Ⅲ. 간호진단적용
Ⅳ. 결론
Ⅰ. 서론
1. 우울증이란
진정한 우울증은 질환이다. 우울증은 일시적으로 우울한 기분이나 개인적인 나약함이 아니며, 또한 자신의 의지로 좋아지는 상태가 아니다. 즉, 우울증을 앓고 있는 사람이 스스로가 좋아지게 하기는 상당히 어려운 일이다. 우울증이란 신체,기분,사고 및 행동의 모든 면에서 나타난다. 또한 우울증은 식사, 수면, 자신에 대한 느낌, 사물에 대한 생각 등에 영향을 미친다. 치료를 받지 않으면 증상은 몇 주, 몇 달 혹은 몇 년간 지속될 수 있다. 그러나 적절한 치료를 통하여 앓고 있는 사람의 80%이상이 호전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2. 우울증의 원인
생물학적 취약성을 시사하는 가족력이 있을 경우 발병의 위험성이 있다. 이 위험성은 "조울증"

참고문헌
(3) 체중 조절을 하고 있지 않은 상태(예: 1개월 동안 체중 5% 이상의 변화)에서 의미 있는 체중 감소나 체중 증가, 거의 매일 나타나는 식욕 감소나 증가가 있을 때
주의: 소아의 경우 체중 증가가 기대치에 미달되는 경우 주의할 것.
▶ 환자는 입원 전까지 이전의 몸무게에서 10kg이상이 증가하였다.
(4) 거의 매일 나타나는 불면이나 과다 수면
▶ 환자는 거의 활동을 하지 않고 밤에 8시간이상, 낮잠으로 2시간 이상 자고 있음.
(5) 거의 매일 나타나는 정신 운동성 초조나 지체(주관적인 좌불안석 또는 처진 느낌이 타인에 의해서도 관찰 가능하다)
(6) 거의 매일 피로나 활력 상실.
(7) 거의 매일 무가치감 또는 과도나거나 부적절한 죄책감을 느낌(망상적일 수도 있는)
(단순히 병이 있다는 데 대한 자책이나 죄책감이 아님.)
(8) 거의 매일 나타나는 사고력이나 집중력의 감소, 또는 우유부단함(주관적인 호소나 관찰에서)
▶ 환자는 활동요법에 참여하면서 집중하지 못하고 들락날락하는 모습을 보임.
(9) 반복되는 죽음에 대한 생각(단지 죽음에 대한 두려움 뿐만 아니라), 특정한 계획 없이 반복되는 자살 생각 또는 자살 기도나 자살 수행에 대한 특정 계획
B. 증상이 혼재성 삽화의 기준을 충족시키지 않는다.
C. 증상이 사회적, 직업적, 기타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심각한 고통이나 장해를 일으킨다.
▶ 우울 증상으로 인하여 다니던 유치원을 그만두게 됨.
D. 증상이 물질(예: 약물 남용, 투약)이나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예: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직접적인 생리적 효과로 인한 것이 아니다.
E. 증상이 사별에 의해 잘 설명되지 않는다. 즉, 사랑하는 사람의 상실 후에 증상이 2개월 이상 지속되거나, 현저한 기능 장해, 무가치감에 대한 병적 집착, 자살 생각, 정신증정 증상이나 정신성 운동 지체가 특징적으로 나타날 경우에만 이 장애의 진단이 내려진다.

<<질병의 원인 유추>>
1. 소인
1) 공격내재화(aggression turned inward theory)
Freud의 분노내재화 이론은 죄악감 때문에 적당한 대상으로 향하지 못한 공격본능이 내부 로 향한 것이 우울을 형성하게 된다.
사랑하는 감정 뒤에 부정적인 감정이 누적되어 미움, 적개심, 분노 등의 부정적인 감정이 표현되지 않고 자신의 내부로 향하게 되고 감정표현을 억누르게 된다.
Freud는 자기파괴적인 자살 행위는 미워하고 사랑하는 대상과 자신에 대한 분노의 표현이 라고 했다.
▶ 환자는 1남 3녀중 장녀로 가난한 집안에서 자랐다.
어렸을 때부터 권위주의적인 부모님 밑에서 장녀로서 역할을 제대로 못한다는 꾸지람을 자주 들어왔었다. 환자는 그러한 부모님을 미워하면서도 전혀 반항하지 않았고 자신을 꾸짖는 부모님이 밉고 분노가 생기긴 했지만 그저 자신이 못나서 꾸지람을 듣는 것이라 생각해 왔다. 이러한 부모님에 대한 감정이 나이가 들면서 점점 쌓이게 되고 감정표현을 억누르게 되면서 자기 파괴적인 자살생각이나 시도를 하게 되었다.

2) 인지이론(cognitive model)
미래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 즉 자신이나 어느 누구도 불행이나 고통을 변화시키기 위해
아무것도 할 수 없고 아무것도 이루어 지지 않을 것이라는 신념이다. 이에 관련하여 Beck
등은 우울증 등의 정서적 증상보다는 인지적인 증상인 절망이 자살과 가장 관련이 있을 것 이라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그래서 사람들이 일상생활을 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좌절, 실패, 경제적 타격, 사랑하는 대상의 상실 등의 부정적인 스트레스는 우울이나 절망감을 느끼게 만들며, 이러한 우울이나 절망은 사람들에게 자살 행동이라는 결과를 초래하게 만든다는것이다.
▶ 자신에 대한 부정적 관점-스스로의 모습이 너무 보기 싫고
미래에 대한 부정적 관점-벌써 세 번째 재입원을 하면서 자신은 이제 더 이상 사회에 서 적응하지 못할 것이라는 생각과 사회에 나가면 또 다시스트레스에 적응하지 못해서 역경을 이겨내지 못할 것이라생각함. 자신의 미래는 캄캄하다라고 말함.
3) 학습된 무력감 모델(learned helplessness model)
4) 행동모형(behavioral model)
5) 생물학적 모형(biological model)
① 카테콜라민 결핍


하고 싶은 말
환자의 case study 내용입니다.
간호진단을 내리고 간호계획을 세웠습니다.
문헌고찰과 case study 내용을 표로 깔끔하게 정리하였습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