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신우결석케이스 스터디(Case Study),신루관(Nephrostomy tube)관리,신우절제술
[성인간호학][Renal pelvic stones ][신우결석]케이스 스터디(Case Study),신루관(Nephrostomy tube)관리,신우절제술.hwp |
|
목차 서론
문헌고찰 - 신우결석 1. 정의 2. 특징 3. 위험요인 4. 증상 5. 병리기전 6. 진단방법 7. 요로결석의 형태와 간호시 고려할 점
Case Study 1. 간호사정 (1)개인력 (2)건강력 2. 과거력 3. 진단검사 4. 약물치료
***간호과정 1. 요배설 경로변경과 관련된 배뇨장애 2. 신루관의 가정간호와 관련된 불안
3. 수술부위의 절개 및 신루관 삽입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결론 참고문헌
본문 요정체, 부동, 탈수 인산칼슘, 요산을 과도하게 배설하는 질병 칼슘이나 퓨린의 과다섭취 원발성 부갑상샘 기능항진증 비타민 D과다증 신세뇨관 산증 4. 증상 요로결석의 일차적인 임상증상은 통증이며 통증부위가 결석의 위치를 암시해준다. 신우에 위치한 결석은 심한 요통유발하고 결석이 거친 경우 혈뇨를 보인다.심한 간헐적 통증은 요관근육이 연동운동에 의해 결석을 요관아래쪽으로 내려 보내려고 경련이 일어나기 때문에 나타난다.결석의 크기가 아주 작거나 결석이 방광에 위치할 때는 통증이 없을 수도 있다. 전신증상으로 환자는 흔히 오심, 구토 및 혈뇨를 경험하며 감염이 있을 경우 오한과 발열을 호소한다. 5. 병리기전 소변 속에는 많은 염류들이 매우 불안전한 상태로 존재하고 있는데 이 소변 성분이 어떤 원인에 의해 균형을 잃게 되면 그 속에 함유되어 있던 염류들이 결정체로 발전되기 쉬운 조건이 만들어지게 되고 그로 인해 결정체들이 형성된다. 이 결정체가 모여서 결석이 되는데 대부분의 결정체들은 신우에서 만들어진 후 요관을 통해 자연스럽게 내려가면서 요관, 방광결석이 되고 결국은 요도를 통해 소변으로 배출된다.그러나 요관으로 내려가지 않고 신배 또는 신우에 남아 있게 되면 점점 커져서 신장결석이 된다.신우나 신배에 생기는 결석은 이동을 하지 않으면 대부분 통증도 없고, 있다해도 등과 허리 쪽이 무겁게 느껴지거나 묵직하게 아픈 정도 이어서 본인이 자각하기가 매우 어렵다. 그러나 이미 신장은 이 결석들로 인해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 신장에 이상이 생기면 노폐물들이 제대로 걸러지지 못한 채 인체에 쌓이게 되어 각종 신장질환 및 많은 병들을 발병하게 만든다. 신장결석은 아주 작은 결정체여서 X-RAY로도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이 결정체들은 신장을 이루는 작은 요세관 속에 침전되어 물길을부분적으로 봉쇄하게 되며 이것은 인체 세포 조직에 수분 흡착을 유도한다. 결정체가 많이 생길수록 팔 다리의 관절과 동맥 내부같은 다른 기관에도 침전되기 시작하여 시간이 흐르면 경화증을 일으킨다.
본문내용 08. 11. 23에 외래를 방문하여 KUB 방사선 촬영술, 신장 컴퓨터 단층촬영술, 경정맥 신우촬영술 등의 검사에서 오른쪽 신우결석으로 진단을 받고 입원치료가 요구되어 2주이상 꾸준히 치료받고 있습니다. 현재 신우절제술을 한 후 신루관을 삽입하여 배액하고 있습니다. 환자는 부인과 세 자녀를 두고 있는데 환자와 부인은 집에서 신루관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해 염려하고 있습니다. 이 Case는 신우결석의 초점이 아닌 신우결석으로 인해 신우절제술을 한 뒤 신루관을 삽입했는데 신루관의 관리 및 간호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 연구하였습니다. 이에 본 연구자는 08년 12월 4일 김주연 선생님의 승인 하에 환자의 연구참여 동의를 받아 본 Case Study를 시작하였습니다. 문헌고찰 신우결석 1. 정의 신우결석은
참고문헌 1. 간호 진단과 중재, 서울대출판사, 2. 제6판 성인간호학 ⅠⅡ권 성인간호학(수정판) 3. 성인건강간호학 실습지침서, 출판부:공주대학교출판부, 저자: 김희경 4. 성인간호학 임상매뉴얼 현문사 5. 제5판 성인간호학 하권 대표저자 전시자 외, 현문사 킴스온라인 http://www.kimsonline.co.kr 드럭인포 http://www.druginfo.co.kr
하고 싶은 말 환자의 case study 내용입니다. 간호진단을 내리고 간호계획을 세웠습니다. 문헌고찰과 case study 내용을 표로 깔끔하게 정리하였습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